2025년 농촌에서 살아보기 신청 방법 및 신청 조건을 확인할 수 있고 이번 글을 통해 귀농과 귀촌을 고민하고 있는 청년들은 다른 사람들의 후기와 꿀 팁을 알 수 있습니다。
글 아래에서는 여러 지원금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함께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2025년 농촌에서 살아보기 지원 내용
농촌에서 살아보기에 참여하게 되면, 최소 숙소는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체류비 지원
지역마다 다르지만, 숙소 제공 또는 임차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숙소를 제공하는 경우 방마다 컨디션이 다를 수 있기에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생활비 지원
신청해서 프로그램에 참가하면서 발생하는 식비와 교통비 등 생활비는 모두 본인 부담입니다.
단, 프로그램을 모두 이수하게 되면, 연수비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연수비는 평균 30만원 ~ 50만원입니다.
귀농 교육
정말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 기술, 작물 재배법, 창업 컨설팅 등을 제공합니다.
농촌에서 살아보기 지역별 한눈에 보는 방법
‘그린대로‘ 누리집을 통해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진행하고 있는 지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린대로 누리집 접속 (https://www.greendaero.go.kr/)
- 중간 목차에서 ‘살아보기‘ 클릭
그린대로 이용 꿀 팁
관심있는 지역을 선택하는 것도 좋지만, 프로그램 정보와 숙박 정보를 꼭 확인하고 비교해 봐야 합니다.
프로그램 정보
지역마다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다르며, 내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지 또는 내가 얻을 수 있는 정보와 기술이 있는지 꼭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세부 프로그램으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숙박 정보
숙박 시설을 제공한다면, 사진으로 숙소 내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설명란에는 객실 시설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으니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 농촌에서 살아보기 신청 방법
가장 쉬운 방법은 ‘그린대로‘ 누리집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 그린대로 누리집 접속 (https://www.greendaero.go.kr/)
- ‘살아보기’ 메뉴 클릭
- 원하는 지역 선택
- 객실 선택
- ‘신청하기‘ 버튼 클릭
신청과 관련해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희망 지역 프로그램을 확인하면서 ‘마을 운영자‘ 또는 ‘시군지원센터‘ 번호를 통해 문의해 볼 수 있습니다.
신청 조건
아무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참가자 조건이 있습니다.
- 만 18세 이상 (2025년 기준으로 2005년생 이전 출생자)
-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이 없는 사람
- 처음 신청하는 사람
신청 꿀 팁
인기가 많은 지역은 조기에 마감될 수 있기에, 고민은 짧게 빠르게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할 때에는 전에 말한 것 처럼 프로그램별 지원 내용과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
- 귀농과 귀촌을 고려하고 있지만, 아직 확신이 없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농업, 농촌 생활에 관심이 있지만 경험이 부족한 분에게 추천합니다.
- 자연 속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싶으신 분에게 추천합니다.
다만, 최대 8개월 기간 동안 생활비와 같은 비용이 부담된다면, ‘한 달 살기 지원사업‘에 참여해 볼 수 있습니다.
한 달 살기 지원사업이란?
몇몇 지자체에서 지역 홍보를 목적으로 한 달 살기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 달 살기 지원사업의 경우 숙소비, 생활비, 체험 활동 비 등 모든 비용을 지원하고 있는 만큼 부담이 적을 수 있습니다.
한 달 기준으로 최대 200만원이 넘는 지원금을 지급하기도 하니 자세한 내용 아랫글을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청년 귀촌 지원금 신청 방법 귀농과의 차이점은?
- 월 최대 110만원 지원
- 월 최대 110만원 지원
- 청년 귀농 지원금 신청 방법 2025년 월 110만 원씩 3년
-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조건 및 240만원 후 재신청 후기
- 2년 동안 월세 비용 20만 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