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신청 방법 글 하나로 최대 31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확인부터 신청까지 해보실 수 있습니다.
부모님과 떨어져 사는 청년이라면 월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이니 꼭 신청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부모님과 따로 살면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과 거주지를 다르게 하고 있는 미혼인 청년은 정부 지원으로 월세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신청 대상, 지원 금액, 신청 방법을 쉽게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이란?
부모님과 따로 사는 청년이 개별적으로 받을 수 있는 주거비 지원금입니다.
부모님이 주거급여를 받고 있지만, 청년이 다른 지역에서 혼자 거주하는 경우 신청해 볼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학교 또는 직장 때문에 부모님과 따로 사는 미혼인 청년이라면 유용할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청년 주거급여와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차이점은?
핵심적인 차이점은 청년이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차이점입니다.
- 부모님과 함께 살면 ‘청년 주거급여‘를 신청해야 합니다.
- 부모님과 따로 살면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을 신청해야 합니다.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의 장점
가장 큰 장점은 청년의 통장으로 직접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존 주거급여의 경우 부모님과 청년을 합한 가구원수에 따른 주거급여 지원금을 받았다면, 분리 지급의 경우 가구원수가 줄어든 채로 부모님은 부모님대로, 청년은 청년대로 지원금을 각각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부 + 모 + 자녀1)
- 기존 주거급여의 경우 3인 가구원수에 따른 주거급여를 받습니다.
- 분리 지급의 경우 부모님은 2인 가구원수에 따른 주거급여를 받습니다.
- 청년은 1인 가구원수에 따른 지원금을 따로 받습니다.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지원 대상
해당 지원금에 신청할 수 있는 청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의 청년
- 결혼하지 않은 미혼의 청년
- 부모님과 거주지가 다른 청년
- 부모님이 주거급여를 받고 있는 청년
- 청년 명의의 임대차계약서가 있어야 합니다. (전세 또는 월세 계약)
만약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다면, 아랫글들을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주거급여 분리 지급과 같이 청년들의 월세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지원 사업입니다.
지원 금액 (월 최대 35만 원)
지원금액의 경우 지역별 기준임대료에 따라 다르게됩니다.
만약, 임대료가 지원 한도를 초과할 경우, 한도 내에서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이 부모님과 떨어져 살 경우 1인가구로 받을 수 있는 지원금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에 거주할 경우 : 352,000원
- 경기 또는 인천에 거주할 경우 : 281,000원
- 광역시, 세종시, 수도권 외 특례시에 거주할 경우 : 228,000원
- 그 외 지역에 거주할 경우 : 191,000원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신청 방법
신청 기간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은 상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즉, 1년 내내 접수가 가능합니다.
단, 신청한 달부터 지급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빠르게 신청할수록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신청 방법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은 방문 신청과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 절차
- 복지로 홈페이지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저소득층
-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신청
방문 신청의 경우 주거급여 수급가구 내 가구주(부모)가 거주하는 행정복지센터나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신청해야 합니다.
제출 서류
-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신청서
- 대차계약서
- 최근 3개월 내 임차료 지급 증빙내역 (계좌입금 확인)
- 분리거주 사실 확인 증빙 (재학증명서, 재직증명서 등)
- 청년 명의 통장 사본
자세한 서류 내용은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전화로 물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전화번호는 ‘도로화번호는 ‘도로명 주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지원금 지급 일정
신청 후에는 2개월에서 3개월 정도 안에 지급 여부가 결정됩니다.
지원금은 매월 20일~25일 사이 청년 명의 통장으로 입금됩니다.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신청 시 주의 사항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의 가장 큰 문제점은 청년의 소득입니다.
예를 들어서 부모님과 청년 총 3인 가구는 월 소득이 2,412,169원 이하이면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청년이 부모님과 따로 살 경우 부모님은 2인 가구로 월 소득이 1,887,676원 이하여야 하며, 청년은 1인 가구로 1,148,166원 이하여야 합니다.
즉, 청년이 부모님과 떨어져 살고 직장을 구하게 된다면, 월 소득이 1,148,166원 이하여야 지원금을 받는데 이 부분이 조금 어려운 부분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은 대부분 대학생 또는 공시생에 해당되는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청년 주거급여 분리 지급 신청 방법 총 2가지로 방문 신청 방법과 온라인 신청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최대 약 35만 원의 지원금으로 월세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단, 소득인정액이라는 큰 걸림돌이 있기에, 지원 조건을 꼭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만약, 직장을 구해서 소득으로 인해 주거급여를 받지 못한다면, 아래 관련 글을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월세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지원사업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및 신청 기간 컴퓨터 휴대폰 가능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 지나면 기한 후 신청으로 297만원
-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조건 및 240만원 후 재신청 후기
- 2025년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 방법 및 변경 사항 정리
- 서울 청년수당 신청 방법 및 2025년 신청 기간
이 외 더 많은 월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지원사업이 많습니다.
관련 글들을 ‘청년 복지 도우미‘ 카테고리 또는 ‘저소득자 복지 도우미‘ 카테고리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