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안심주택 신청 자격 조건 2025년 및 기준 완벽 분석

청년 안심주택 신청 자격 조건 및 소득 기준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으며, 자신이 청년 안심주택에 신청할 수 있는지를 지금 바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청년 안심주택으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만들고, 삶의 질을 크게 올릴 수 있습니다.

청년 안심주택이란?

청년 안심주택은 통학 또는 출근이 편한 역세권 또는 간선도로변에 청년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위와 같은 곳은 보통 월세 또는 전세가 매우 비싸 부담을 느끼기 마련이지만, 청년 안심주택은 주변 시세의 30~85%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청년들의 부담을 한 번 더 줄이기 위해서 임대보증금의 50%, 최대 4,500만 원까지 무이자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청년 안심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가 신청할 수 있으며, 이번 글에서는 청년을 위주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안심주택 보증금 및 월 임대료

청년 안심주택의 중요성을 한 번 더 알 수 있도록, 청년 안심주택의 보증금과 월 임대료를 알려드리는 것도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 청년 안심주택 : 신대방 삼거리역 골드 타워 (7호선)
  • 보증금 : 원룸 (57,000,000원), 1.5룸 (80,000,000원), 2룸 (103,000,000원)
  • 월 임대료 : 원룸 (360,000원), 1.5룸 (490,000원), 2룸 (620,000원)

2025년 1월 13일 청약 예정인 청년 안심주택 정보(민간임대)입니다.



아래는 신대방 삼거리역 원룸과 투룸 보증금과 월 임대료에 대한 정보이며, 1층 및 반지하를 제외한 정보입니다.

  • 중층, 원룸 : 보증금 1,000만 원 / 월세 60만 원
  • 중층, 투룸 : 보증금 3,000만 원 / 월세 140만 원

다방‘ 홈페이지에서 찾아본 신대방 삼거리역 월셋집 정보입니다.

저층 즉, 1층 또는 반지하 매물을 찾는다면 더 저렴한 집들도 많습니다.



생각보다 청년 안심주택이 아주 저렴하지 않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방을 통해 매물 이미지를 확인하고, 청년 안심주택 이미지를 확인한다면, 결코 비싸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퀄리티 차이가 크게 납니다.


인프라, 청결, 안전성 등 청년 안심주택을 적극 추천해 드리는 바입니다.



청년 안심주택 신청 자격 조건

청년 안심주택에 신청할 수 있는 청년들은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인 청년
  2. 미혼인 청년
  3. 무주택자인 청년 (부모님은 상관 없음)
  4. 자동차가 있다면 자동차 가액이 3,708만원 이내인 청년
  5. 본인 자산 가액이 2억 7,300만원 이하인 청년
  6.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120% 이하인 청년



소득 자격의 경우 만약, 신청하는 청년이 소득이 있다면본인 소득‘만 기준 소득의 이하이면 됩니다.

단, 신청하는 청년이 소득이 없다면 신청자와 ‘부모’의 월 평균 소득을 합쳐서 기준 소득의 이하여야 합니다.

1인 가구2인 가구3인 가구4인 가구5인 가구
4,179,557원6,498,854원8,638,379원9,898,160원10,530,085원



신청 자격을 어느 정도 충족하는 경우 아래 신청 방법에 대한 내용을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청년 안심주택 신청 방법 및 2025년 신청 기간 완벽 가이드



청년 안심주택 선정 기준

청년 안심주택의 경쟁도는 높은 편으로, 선정 기준을 알고 있으면 대비하기 훨씬 수월합니다.

아래 내용은 자기 자신이 몇 순위인지 알 수 있습니다.



공공임대 1순위

  • 생계, 주거, 의료 수급자
  • 한부모 가족
  • 차상위계층 가구


공공임대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소득 합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총 자산 : 34,500만 원 이하
  • 자동차가액 : 3,708만 원 이하


공공임대 3순위

  • 본인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총 자산 : 27,300만 원 이하
  • 자동차가액 : 3,708만 원 이



청년 안심주택 거주 기간

처음 당첨되어서 입주하게 되었다면, 최초 2년 동안 거주할 수 있습니다.

최대 6년까지 거주할 수 있으며, 입주 후 결혼할 경우 최대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거주하는 경우 2년마다 재계약이 필요하며, 재계약 시에는 연장 조건과 위에서 설명한 신청 조건을 동일하게 충족해야 합니다.



청년 안심주택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부모님이 집이 있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

  • 신청자가 청년 본인이라면 본인만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Q2. 여러 모집 공고에 중복 지원을 할 수 있나요?

  • 하나의 모집공고에 한 번의 신청만 할 수 있습니다.
  • 다른 민간 임대 단지와 중복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같은 단지더라도 공공임대와 민간 임대가 나뉘어 있다면 중복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Q3.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차이점이 뭔가요?

  • 청년 안심주택은 해당 단지에 공공임대와 민간 임대가 함께 있습니다.
  • 공공임대는 전체세대수의 약 20% 정도이며, 민간 임대는 전체 세대수의 약 80% 정도입니다.
  • 같은 단지지만 공공 또는 민간 유형에 따라 보증금, 임대료, 모집 시기, 모집 방법, 신청 자격 기준의 차이가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