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누리 지원 대상 확인하고 신청해서 월급 최대 9만 9천원 더 받아볼 수 있습니다.
2025년 두루누리가 정확히 어떤 지원사업이며, 어떤 혜택을 받게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이란?
✅ 근로자 수 10명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
✅ 월급 평균 270만 원 미만 근로자
✅ 월급 평균 270만 원 근로자의 사업주
✅ 고용보험 및 국민연금 보험료 80% 지원
✅ 최대 36개월 동안 지원
두루누리 지원 내용
두루누리는 근로자 기준 최대 3년동안 월 9만 9천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업주 지원 내용
지원 비율 | 지원 기간 | 고용보험 지원금 | 국민연금 지원금 |
---|---|---|---|
보험료의 80% | 36개월 (3년) | 월 최대 21,160원 | 월 최대 82,800원 |
근로자 지원 내용
지원 비율 | 지원 기간 | 고용보험 지원금 | 국민연금 지원금 |
---|---|---|---|
보험료의 80% | 36개월 (3년) | 월 최대 16,560원 | 월 최대 82,800원 |
두루누리 지원 대상
두루누리는 아래 설명하는 사업장 조건과 근로자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사업장 조건
✅ 사업장에 고용된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
근로자 수는 법인등록번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르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근로자 조건
✅ 근로자 월급 평균 금액이 270만 원 미만
✅ 신규 가입자
월급 평균 금액인 바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이며, 근로자는 두루누리 신청하기 직전 1년 동안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자격 취득 이력이 없어야 합니다.
비과세 소득이란?
대표적인 비과세 소득 예시
항목 | 비과세 한도 |
---|---|
식대 | 월 10만 원까지 비과세 |
육아휴직 급여 | 전액 비과세 |
생산직 근로자 야간수당 | 조건 충족 시 비과세 |
자녀 학자금 지원비 | 자녀 1인당 일정 한도 내 비과세 |
지원 제외 대상
아래 둘 중 한가지라도 해당된다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근로자가 전년도 재산 과세표준액 합계 6억 원 이상
- 근로자가 전년도 종합소득 4,300만 원 이상
두루누리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과 방문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은 사업주가 해야합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접속
- 회원가입 후 로그인
- 민원신고 클릭
- 사업장 업무
두루누리 미가입 사업장은 4번까지 진행 후 ‘성립신고‘ 클릭
두루누리 가입되어 있는 사업장은 4번까지 진행 후 ‘두루누리 보험료 지원‘ 클릭
방문 신청 방법
신청서류 작성해서 사업장 소재지 관할 근로복지공단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
제출 서류
✅ 미가입 사업장 : 보험관계 성립신고서 및 피보험 자격 취득 신고서
✅ 가입되어 있는 사업장 : 보험료 지원 신청서
-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http://www.4insure.or.kr) > 자료실 > ‘서식자료실’ 클릭
-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http://www.kcomwel.or.kr) > 메인화면 > ‘서식자료’ 클릭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https://www.nps.or.kr) > 민원신청 > ‘서식 찾기’ 클릭
두루누리 지원 대상 관련 Q&A
Q1. 취업 전 아르바이트로 4대 보험 가입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근로자는 신청일 기준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이력이 1년동안 없어야 합니다.
Q2. 3.3%와 두루누리 차이점
구분 | 두루누리 | 3.3% |
---|---|---|
근로 형태 | 정규직 또는 일용직 근로자 | 개인사업자(프리랜서) |
세금공제 방식 | 4대 보험 가입 (소득세·건보료·연금 자동 공제) | 4대 보험 미가입 (소득세 3.3%만 원천징수) |
사회보험 가입 | 4대 보험 의무가입 | 원칙적으로 가입하지 않음 |
장점 | 4대 보험 가입 + 정부가 보험료 80%까지 지원 | 단기 업무 가능, 보험료 부담 없음 |
단점 | 월급에서 보험료 일부 공제됨 | 실업급여·연금 혜택 없음 |
Q3. 근로자 두루누리 신청 방법
두루누리는 근로자가 신청하는 것이 아닌 사업주가 신청하는 것입니다.
신청하고 싶으시다면, 사업주에게 직접 말씀을 드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