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과 그 외 정보들을 정리했으며, 신청하기 위한 조건과 최대 12만 6천원의 바우처 중 자신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는 매월 지급되며, 최대 1년 동안 1,512,000원의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농식품 바우처는 어떤 지원 사업인가요?
농식품 바우처는 취약계층이 많아지면서, 식습관 악화로 인해 건강 위협이 심해지고 있어 영양 보충적 지원 정책입니다.
농식품 바우처는 시범 사업이며, 2020년 기존 세종 세종시, 충남 청양군, 전북 완주군, 경북 김천시 4개소에서 2021년 10개소, 2022년 15개소, 2023년 18개소, 2024년에는 24개소로 시범 사업 지역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만약 2024년에 신청 지역이 아니더라도 2025년에는 전국에서 시행될 예정이며, 미리 알고 준비한다면 1년 동안 꽉 채워서 바우처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농식품 바우처 지원 대상
농식품 바우처 신청 조건은 소득 조건만 충족하면 됩니다.
소득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이며,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해당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인상되고 있으며, 2024년과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
100% | 2,228,445원 | 3,682,609원 | 4,714,657원 | 5,729,913원 | 6,695,735원 |
32% (생계급여) | 713,102원 | 1,178,435원 | 1,508,690원 | 1,833,572원 | 2,142,635원 |
40% (의료급여) | 891,378원 | 1,473,044원 | 1,885,863원 | 2,291,965원 | 3,047,348원 |
48% (주거급여) | 1,069,654원 | 1,767,652원 | 2,263,035원 | 2,750,358원 | 3,213,953원 |
50% (교육급여) | 1,114,223원 | 1,841,305원 | 2,357,329원 | 2,864,957원 | 3,348,868원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가 지원 대상이 되는 만큼 가구별 위 소득 구간에 해당하는 대상은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
100% | 2,392,013원 | 3,935,658원 | 5,025,353원 | 6,097,773원 | 7,108,192원 |
32% (생계급여) | 765,444원 | 1,259,999원 | 1,608,911원 | 1,951,083원 | 2,271,622원 |
40% (의료급여) | 956,805원 | 1,574,263원 | 2,010,141원 | 2,439,109원 | 2,843,277원 |
48% (주거급여) | 1,149,765원 | 1,888,157원 | 2,412,067원 | 2,915,133원 | 3,413,926원 |
50% (교육급여) | 1,196,007원 | 1,967,829원 | 2,512,676원 | 3,048,887 | 3,554,096원 |
위 표를 통해서 자신이 2025년에 신청 자격을 충족할 수 있는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 대상 (업데이트)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 대상 조건이 공개되었습니다.
2024년에는 소득 기준만 충족하면 되었는데, 2025년에는 더 까다롭게 변경되었습니다.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변경 : 생계급여 가구 중에서 임산부, 영유아, 초중고생이 있는 가정
가구 유형 조건이 추가되고 생계 급여의 경우 50%가 아닌 32%로 혜택 받을 수 있는 대상자들이 줄어들게 됩니다.
농식품 바우처 지원 금액
농식품 바우처는 가구 구성원에 따라 지금 급액이 다릅니다.
최소 1인 4만원부터 최대 10인 이상 12만 6천원까지 지급됩니다.
- 1인 40,000원
- 2인 57,000원
- 3인 69,000원
- 4인 80,000원
- 5인 89,000원
- 6인 98,000원
이후 7인부터는 각각 10만 6천원, 11만 3천원, 12만원, 12만 6천원이 지급됩니다.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지원 금액
2025년에는 4인 가구가 10만원의 바우처 금액을 받습니다.
1인 가구부터 6인 가구 그 이상까지 똑같은 인상 금액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확한 인상 금액은 추후에 업데이트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우처 지급 방법
바우처는 바우처 카드로 지급되며, 바우처는 사업에 신청 후 주소지나 가구원 수 등 정보가 확정되는 날 기준으로 매월 1일 충전됩니다.
- 3월은 1일부터~3일까지는 사용 불가능하며, 4일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가 충전되면 매월 말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은 소멸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단, 매월 2,000원 미만으로 남은 금액은 이월이 가능합니다.
바우처 카드 발급 방법은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은 오직 1가지 방법만 있습니다.
아직 시범 사업인 농식품 바우처는 직접 방문을 통한 신청 방법밖에 없습니다.
신청 조건을 충족하는 대상자들은 본인 주민등록등본을 기준으로 주소지 관할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해서 설문 조사와 함께 농식품 바우처는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출 서류
농식품 바우처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분증만 지참하면 됩니다.
작성해야 할 서류의 경우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면 준비되어 있어서 작성만 하면 됩니다.
추후에 개인적으로 필요한 서류가 있다면, 따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준비해야 할 서류 결론) 미리 준비해야 하는 서류는 없으며, 신분증만 지참해서 행정복지센터 방문
2025 농식품 바우처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 또한 시범 사업이 연장되면 같은 방법으로 신청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시범 사업이 2024년으로 종료되고 정식화될 경우 신청 방법과 서류에 대한 정보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농식품 바우처 사용 방법
농식품 바우처는 위에서 설명해 드린 것처럼 매월 1일 카드 금액이 재충전되고 해당 월의 말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 카드로는 구매할 수 있는 품목은 정해져 있습니다.
- 국내산 채소
- 과일
- 흰우유
- 신선계란
-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 잡곡(현미, 보리, 밀, 콩 등)
- 꿀
- 두부류
- 단순가공 채소류(껍질 제거, 세척, 절단된 채소 등)
- 산양유
위 총 10가지 품목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과 함께 잔액 조회 방법도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농식품 바우처의 경우 바우처를 한 달동안 모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하고 맙니다.
그렇기 때문에 잔액 조회 방법을 통해 자주 남은 잔액을 확인해 줘야 합니다.
잔액 조회 방법은 총 2가지로 아랫글을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마무리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은 단 한 가지로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미리 서류도 준비할 것도 없고, 신분증만 지참하면 되기 때문에, 지원 대상(조건)만 확인 후 충족한다면, 하루라도 빨리 신청하시는 걸 권장해 드립니다.
신청 조건을 충족한다면, 신청을 늦게 할수록 손해입니다.
내년 시범사업에는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신청해 보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