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구직활동 인정 범위 확인하고 지원금 최대 350만원을 모두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2유형은 1유형과 달리 매월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지 않지만, 다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대상자들도 취업활동비용과 취업성공수당으로 최대 350만원 상당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의 주요 혜택 (지원금)
2유형 참여하는 대상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활동비용
✅ 방문 상담 3회 이상한 후 취업 준비 계획서 작성 시 15~25만원 지급
✅ 취업 관련 교육 또는 훈련 참여 시 출석 일수에 따라 월 최대 28만 4천원 (최장 6개월)
✅ 고용센터, 위탁기관 등에서 일자리 추천 또는 상담에 참여할 경우 월 2만원 (최장 3개월)
취업활동비용으로 최대 2,014,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성공수당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이거나 ‘특정 계층’ 대상자
✅ 취업 후 6개월간 계속 근무시 50만원
✅ 50만 원 받은 후 6개월간 계속 근무하면 추가로 100만 원
취업성공수당으로 1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과 2유형의 차이를 잘 모른다면 먼저 이 글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구직활동 인정 기준 요약
활동 분류 | 주요 예시 | 비고 |
---|---|---|
입직활동 | 이력서 제출 입사지원 면접 참여 | 가장 핵심적인 활동 |
직업훈련 참여 | 내일배움카드 활용 공공기관 연계 | 수료증 출석 확인 필요 |
취업상담 | 고용센터 상담 진로 상담 워크넷 상담 | 상담기록 제출 |
취업특강 | 온라인 및 오프라인 특강 | 캡처 및 수료 확인 |
청년 도전 지원 사업 | 참여 확인서 발급 수료증 발급 | 적극 권장 |
자격증 준비 | 시험 응시 확인서 | 구직 목적이어야 인정 |
자율 활동 | 자기소개서 기업 분석 모의 면접 | 내용 구체적으로 작성 |
청년 도전 지원사업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윗 글 또는 ‘청년 도전 지원사업 내용 정리‘글을 참고해 보시면 좋습니다.
구체적인 활동 예시
기본 활동
✅ 워크넷 또는 사람인이나 잡코리아 등에서 이력서 제출 또는 입사지원
✅ 면접 참여 (전화, 화상, 대면 모두 인정)
✅ 취업박람회 참가 후 지원 증빙
직업훈련 및 교육 활동
✅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 참여 및 수료
✅ 고용센터 연계 훈련 프로그램 참여
✅ 비영리기관 직업훈련 과정 참여
취업 상담 및 심리 상담
✅ 고용센터 진로상담, 구직상담 참여
✅ 온라인 커리어코칭 프로그램
✅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심리 상담 등
자율활동
✅ 자소서 작성 및 이력서 업데이트
✅ 기업 분석 보고서 작성
✅ 취업 관련 독서, 동영상 강의 수강 등
정서적인 활동만으로는 참여 인정이 어려울 수 있기에 기본 활동을 병행하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구직활동 인정될까? 확인 방법
본인이 하고 있는 구직활동 또는 생각하고 있는 활동이 인정받을 수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고용센터 문의
고용센터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구직활동 계획이 적합한지 물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 고용24 홈페이지 접속
- 고객센터
- 기관 찾기
- 지역 검색 후 고용센터 전화번호 확인
워크넷 활용하기 (고용24)
워크넷 “마이페이지”의 활동기록을 활용해 실제 활동이 인정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크넷 홈페이지 바로가기 (고용24)
워크넷 홈페이지는 서비스 종료로 ‘고용24’로 통합되었습니다.
사전 승인 요청
매달 제출하는 활동보고서에 활동 내역을 미리 작성하고 담당자에게 사전 승인을 요청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도 담당자에게 미리 물어보는게 훨씬 좋기 때문에, 상담을 필요로 하는 방법입니다.
결론적으로 자신의 활동이 인정받을 수 있는지 가장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직접 물어보는 것입니다.
괜히, 어정쩡하게 찾아보고 인정되겠다 생각했지만, 결론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활동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활동 많이 활용하는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로 많은 사람들이 여러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청년 도전 지원사업‘과 연계하거나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연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추가 지원금을 노려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